좋은 질문 주셨습니다. 지금 상황을 정리해 보면:
상품 가격: 21,729엔
배송비: 1,467엔
합계: 23,196엔
일본 아마존 달러 표시 기준으로는 $150.18
판매자는 아마존 재팬 자체
DDP(관세 사전 포함 배송)가 아닌 일반 직배송
핵심 포인트: 관세 면제 기준 (직구)
한국의 개인 직구 면세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:
구분 | 면세 한도 |
일반 제품 | 상품가격 + 해외배송비 ≤ 미화 $150 이하 (미국 외 지역) |
미국발 | $200 이하 |
따라서 일본발 직구는 $150 이하까지가 면세입니다. 배송비를 포함해서 $150.00 초과 시 과세 대상입니다.
지금의 경우는?
아마존 표기 기준: $150.18 → 면세 초과 (관세 대상)
단, 관세 계산은 관세청 고시환율 기준으로 하며, 아마존 자체 환율은 참고용일 뿐입니다.
✦ 그렇다면, 실제 환율 기준으로 계산해 보겠습니다.
① 관세청 고시환율 (예: 2025년 6월 4주차 기준)
고시환율이 1엔 = 약 9.08원이라고 가정 시
→ 23,196엔 × 9.08원 = 약 210,801원
② 관세청 고시환율 기준 달러 환산 (2025.06 기준 예시 환율: 1달러 = 1,370원)
210,801원 ÷ 1,370원 = 약 $153.9
☑ → 면세 기준 초과입니다.
☑ → 관·부가세가 부과될 수 있는 금액입니다.
✅ DDP 미표기 상황
아마존에서 DDP(관·부가세 포함 선납)가 아닌 경우, 물류사(CJ/UPS/DHL 등)에서 나중에 국내 통관 시 관세+부가세 청구를 하게 됩니다.
즉, 물품 수령 전에 세금 고지서를 받을 수 있습니다.
✔️ 요약
현재 달러 기준 $150.18이고, 고시환율로 계산해도 면세 기준을 초과하므로 관세 대상입니다.
구매 전에는 DDP가 표기되지 않은 이상 세금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합니다.
관세 + 부가세율은 상품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 전자제품의 경우 약 약 8~13% 정도 추가비용이 나올 수 있습니다.
대안
장바구니를 나눠서 구매하거나 배송비를 줄이는 방법
배송대행지(DPB) 활용 후 DDP 업체 이용
아예 DDP 표기 있는 판매자 이용(“관세포함 배송”)
목차친구 얘기로 시작된 직구의 현실‘150달러 기준’이란 게 사실은 달러가 아니라고요?아마존에서 DDP가 안 붙는 진짜 이유관세는 얼마나 나오고, 어떻게 계산될까?이것만은 꼭! 자주 묻는 질문 TOP 3결론: 관세 피하고 똑똑하게 직구하는 법친구 얘기로 시작된 직구의 현실 얼마 전 친구랑 커피 마시다가 들은 얘기예요.일본 아마존에서 카메라 렌즈를 직구했는데, 배송비 포함해서 150.18달러에 맞췄다고 하더라고요.'딱 면세 한도 맞췄다!'며 뿌듯해했는데, 며칠 뒤에 관세 고지서를 받았다는 겁니다.이 얘기 듣고 솔직히 저도 당황했어요....
goldcrafter.tistory.com